본문 바로가기
정보

감찰사란? 고려 후기 감찰사의 역사 및 의의 간단히 보기

by 알아봐요 2024. 1. 15.

 

감찰사란?

감찰사는 고려 후기에 있었던 관청이었습니다. 감찰사는 어사대의 기능을 이어받아 설치되었고, 시정을 논집하고 풍속을 교정하고 백관을 규찰, 탄핵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또한, 서경과 같은 중요한 정치적 기능도 함께 담당하였습니다. 감찰사는 고려의 지방행정과 정치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감찰사 역사

감찰사는 1275년에 고려 충렬왕이 어사대를 감찰사로 고친 것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때 관직은 어사대의 대부를 제헌으로, 중승을 시승으로, 시어사를 시사로, 감찰어사를 감찰사로 고쳤습니다. 감찰사의 관원인 대관은 낭사의 관원인 간관과 더불어 대간을 구성하여 청요직으로서 중요시되었습니다.

 

감찰사는 그 뒤 여러 번의 개변을 겪었습니다. 1298년에 충선왕이 선위를 받아 사헌부로 고쳤지만, 곧 충렬왕이 복위하여 감찰사로 환원하였습니다. 1308년에 충선왕이 다시 정권을 잡게 되자 또 사헌부로 고쳤습니다. 1356년에는 다시 어사대로, 1362년에 또 감찰사로, 1369년에 다시 사헌부로 개변을 되풀이하였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사헌부로 일관하였습니다.

 

감찰사의 의의

감찰사는 고려 후기의 지방행정과 정치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 관청이었습니다. 감찰사는 시정을 논집하고 풍속을 교정하고 백관을 규찰, 탄핵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또한, 서경과 같은 중요한 정치적 기능도 함께 담당하였습니다.

 

감찰사란? 고려 후기 감찰사의 역사 및 의의 간단히 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