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강회백, 고려와 조선의 문신이자 공신

by 알아봐요 2024. 2. 12.

 

오늘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활동한 문신이자 공신인 강회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강회백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지만, 그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강회백의 본관, 자, 호, 가계, 그리고 그가 맡았던 직책과 행한 일들을 간단하게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강회백은 누구일까?

강회백의 본관은 진주(晉州)입니다. 자는 백보(伯父), 호는 통정(通亭)이라고 합니다. 그의 할아버지는 중대광(重大匡) 강군보(姜君寶)라는 이름으로, 고려의 중대광이라고 불리는 유명한 문신이었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강시(姜蓍)라는 이름으로, 고려의 문하찬성사라는 중요한 직책을 맡았습니다. 강회백은 이런 가문에서 태어나서, 어려서부터 공부를 잘했습니다.

 

강회백의 문과 급제와 밀직부사로서의 활동

강회백은 1376년에 문과에 급제했습니다. 그리고 성균좨주라는 학교에서 선생님을 했습니다. 밀직사라는 부서에서도 일을 했는데, 이 부서는 외교와 관련된 일을 담당했습니다. 강회백은 밀직사의 제학, 부사, 첨서사사 등의 직책을 맡았습니다. 1385년에는 밀직부사로서 명나라에 다녀왔습니다. 명나라에서는 우왕의 혈통 문제를 발설했다는 김유라는 사람을 잡아와서 심문했습니다. 그리고 1388년에는 창왕이 왕이 되자, 다시 명나라에 다녀왔습니다.

 

강회백의 공양왕 세우기와 공신호 받기

강회백은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세운 일에도 관여했습니다. 창왕은 명나라에게 복종하려고 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반대했습니다. 강회백은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세우기 위해, 윤사덕이라는 사람과 함께 국고를 지켰습니다. 그래서 공양왕이 왕이 되자, 추충협보공신이라는 공신호를 받았습니다. 이 공신호는 강회백이 공양왕을 도와준 것을 인정한 것입니다.

 

강회백의 불교 비판과 한양천도 반대

강회백은 이조판서라는 직책을 겸임했습니다. 이조판서는 법률과 행정을 담당하는 부서의 장관입니다. 강회백은 이조판서로서 불교의 폐해를 비판했습니다. 불교는 고려 시대에 많은 권력과 재산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강회백은 불교의 세력을 줄이려고 했습니다. 또한 강회백은 한양천도를 반대했습니다. 한양천도란 고려의 수도를 한양(서울)으로 옮기자는 주장이었습니다. 강회백은 한양천도가 명나라에게 복종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강회백은 한양천도를 중지하게 했습니다.

 

강회백의 유배

강회백은 정몽주의 사주를 받은 간관들과 다투었습니다. 정몽주는 고려 시대의 유명한 문인이었는데, 그의 사주는 그의 제자들이었습니다. 간관들은 정몽주의 사주들이 공양왕을 반역하려고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래서 간관들은 정몽주의 사주들을 탄핵하려고 했습니다. 강회백은 이에 동조하지 않고, 정몽주의 사주들을 지지했습니다. 그러나 1392년에 정몽주가 살해당하자, 강회백도 유배되었습니다. 강회백은 진양이라는 곳에 유배되었습니다.

 

강회백의 조선 건국 후의 활동과 저서

강회백은 조선이 건국된 후에도 일을 했습니다. 1398년에는 동북면도순문사가 되었습니다. 동북면도순문사는 동북쪽의 지방을 관리하는 관리입니다. 강회백은 동북면도순문사로서 지방의 안정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강회백은 저서로는 『통정집』이라는 책을 남겼습니다. 『통정집』은 강회백의 시와 문장을 모은 책입니다. 『통정집』은 강회백의 학식과 문장력을 보여줍니다.

 

 

강회백, 고려와 조선의 문신이자 공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