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무량판 구조 아파트, 문제가 되는 이유는?

by 알아봐요 2023. 8. 10.

무량판 구조라는 말이 요즘 뉴스에 자주 나오는데요. 기존에 이용되어온 라멘식 구조와는 다른 방식이라고 합니다. 과연 어떻게 다른 것인지, 그리고 요즘 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인지를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무량판 구조 아파트, 문제가 되는 이유는?

무량판 구조?

무량판 구조는 기존의 건축 구조와는 달리 보(대들보)라는 수평구조가 없이 기둥에 슬래브가 바로 연결되어 기둥만으로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하중을 축적하는 기둥에 직접 슬래브가 연결되어 있어 보가 없이도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형태인데요. 그만큼 슬래브가 보의 역할을 해주어야 하기에 슬래브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야 합니다. 보를 이용하는 라멘식 구조와는 다른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1995년 기준으로 보면 라멘식 구조에서 슬래브 두께가 12cm 정도였을 때 무량판 구조의 슬래브는 30cm는 되어야 합니다.

 

무량판 구조의 장점

공사 기간 단축

무량판 구조는 별도의 보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강철근을 감아 보강하는 작업을 줄이므로 시공 기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는 것입니다.

 

경제적 효율

무량판 구조를 적용하면 보를 제외하고 거푸집도 적게 들며 필요한 재료와 작업량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니 그만큼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됩니다. 실제로 LH 측에서는 기존 라멘식 대신 무량판 구조를 적용하면서 연간 751억 원의 사업비를 절감했다고 합니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

무량판 구조는 보가 없이 기둥만으로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입니다. 그렇기에 내부 공간을 더 자유롭게 바꿀 수 있게 되고 베란다를 터서 공간을 확보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해집니다. 특히 층고가 낮은 건물에서 유리한 특성을 보이며, 보가 없는 만큼 층고도 절약할 수 있게 되기에 초고층 아파트에 무량판 구조가 자주 채택되어 왔습니다.

 

무량판 구조의 문제점

위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최근들어 무량판 구조가 문제가 되어온 이유는 무엇일까요? 아래에서 살펴보겠습니다.

 

펀칭 현상

무량판 구조에서는 위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슬래브의 두께가 기존 라멘식보다 현저히 두꺼워져야 하는 등 기둥과 천장을 결속시켜주는 전단보강근이 중요합니다. 보강근이 부족하거나 부실하게 설계되거나 시공되면 하중을 견디지 못해 '펀칭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건물의 안전성이 감소하고 붕괴 위험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와 올해 일어난 검단신도시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에서 이러한 펀칭 전단이 발생했습니다.

 

층간 소음

무량판 구조는 벽식 구조보다 층간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라고 합니다. 보가 없고 층고가 낮은 만큼 층간 소음에 취약한 경우도 많이 나타난다고 하네요. 플랫 슬래브 구조의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 슬래브 두께를 벽식구조와 동일하게 상향시키기도 한 것을 보면 무량판 구조라고 해서 층간 소음으로부터 자유로운 것은 결코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부 작업자들의 전문성 부족

무량판 구조의 설계와 시공 과정에서의 전문성 부족도 문제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무량판 구조로 된 건물이 완벽하게 설계 및 시공되면 문제가 없지만 시공 실수나 감리 문제 등이 발생하면 건축물의 안전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뉴스를 보면 숙련되지 않은 근로자들이 시공 실수를 저지르거나 감리 전문가들이 감리를 부실하게 하고 비리를 저질렀다는 뉴스가 빈번하게 나오기 때문에 무량판 구조물 자체에 대해 불신을 갖게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론

무량판 구조는 공사 기간 단축과 경제적 효율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건축 방식입니다. 그러나 전문성 부족과 부실 공사 문제가 여전히 만연한 사회에서 조금이라도 문제가 발생했을 때 더 큰 사태를 만들 수 있는 무량판 구조 자체에 대해 불신이 쌓이고 있습니다. 무량판 구조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안전한 건축물을 만들기 위해 지금보다 더욱 큰 노력이 필요하겠습니다.

 

 

댓글